이번 호에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에 성공한 패션 브랜드들의 사례와, K-패션이 해외 시장에서 주목받을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꼭 패션 업계 마케터가 아니시더라도 브랜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어떻게 경쟁력을 만들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인사이트를 담았으니 한 번 읽어보시면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을 거예요.✨
사례로 보는 K-패션의 글로벌 성공 전략?
앞선 뉴스레터에서 식품 브랜드의 성공 사례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패션 브랜드가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과연 어떤 브랜드가 어떤 전략으로 전 세계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을까요?
마뗑킴(Matin Kim) 🔗
트렌디한 패션 브랜드 ‘마뗑킴(Matin Kim)’은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4개국에서 영향력 있는 현지 인플루언서 400여 명과 협력해, 틱톡과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마케팅 캠페인을 전개했습니다. 캠페인 이후 해외 판매량이 약 121%까지 급증했다고 하죠.
낫 유어 로즈(Not your rose) 🌹
K-팝 아이돌들이 즐겨 착용하여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진 것을 기회로 삼아 현지에서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들과 협업해 글로벌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늘렸는데요. 브랜드 이미지와 부합하는 인플루언서들과의 협업을 통해 브랜드 고유의 색깔을 유지하며 고품질 콘텐츠를 통해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각인시켰습니다.
마르디 메르크디 (Mardi Mercredi) 🌼
이 브랜드는 특히 일본 시장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한 현지화 전략으로 빠르게 성과를 거두었는데요. 일본 진출 과정에서 현지의 메가 인플루언서와 협업해 한정 제품을 선보이고, 다수의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와 함께 룩북을 제작하는 등 다양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펼쳤습니다.
전 세계 소비자가 선택한 K-패션의 핵심 전략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더 알아보기] 버튼을 통해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세요!
앞서 살펴본 사례들처럼, 이제 국내 패션 브랜드는 전 세계 소비자들의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한때 글로벌 무대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K-패션이, 이제는 팝업 스토어가 열리면 제품이 전량 매진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죠.
그렇다면, 이러한 변화는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K-패션, 한류 바람을 타고 세계로~
국내 패션 브랜드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한류라는 문화적 요인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K-팝 아이돌들의 패션이나, K-드라마 속 패션을 보고 따라서 구매하는 '디토소비'가 일어나는 것이죠.
실제로 한국국제문화교류원이 28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한류 콘텐츠를 접한 뒤 1년 이내에 한국 패션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66.2%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K-패션은 꾸준히 성장해왔는데요, 그렇다면 앞으로도 연예인이나 메가 인플루언서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올리는 전략이 유효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후발 주자라면 더더욱 어려운 전략이죠. 그렇다면, 이러한 흐름 속에서 패션 브랜드 담당자의 과제는 무엇일까요?
1. 경쟁 심화 및 비용 증가에 대처하기📈
2. 타겟 소비자의 변화 캐치!📱
3. 글로벌 브랜드가 되고 싶다면 현지화 마케팅은 필수‼️
구체적인 실행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더 알아보기] 버튼을 눌러 자세한 이야기를 알아보세요!